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 정치부 최선 기자 나와 있습니다. 빈칸이 공천이었군요. '공천 진실게임' 앞선 리포트에서 봤던 민주당 내 갈등을 얘기하는 거죠? <br><br>지방선거 패배 이후 친문 진영에서는 이재명 의원의 명분없는 출마가 패인이었다며 누가 이 의원을 공천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심지어 "이재명 의원이 사실상 셀프 공천한 것"이라는 얘기까지 나왔습니다. <br> <br>반대로 이재명 의원은 당의 요청에 따른 출마라는 점을 강조했었습니다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달 9일)] <br>"정치인은 국민에게 무한 책임지는 것이기 때문에 국민이, 당이, 후보들이 원하는 필요로 하는 일들을 자기 이해관계를 떠나서 감당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Q. 그러니까 진실공방의 핵심은 '셀프공천을 한 것이냐', 아니면 '당의 필요에 따른 공천인 것이냐' 이런 거겠네요. <br><br>친문의원 중심으로 이재명 의원의 셀프공천은 물론, 컷오프 이후로도 서울시장 후보가 된 송영길 전 대표의 공천에도 의심을 품고 있습니다. <br><br>[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, CBS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"누군가의 영향력에 의해서 하루아침에 다시 없던일이 되고 그러니 결국은 (송영길) 후보가, 서울시장 후보가 되지 않습니까?" <br><br>여기에 정세균계 의원이자 전략공천위원장이었던 이원욱 의원도 "전략공천위 결정 없이 비대위에서 이재명 의원을 공천한 것은 사실"이라며 진실게임에 가세했습니다.<br><br>Q. 그럼 반대로 이재명 의원 측은 어떤 반응인가요? 가만히 있지 않을 것 같은데요. <br><br>친이재명계 의원들은 최대한 말을 아끼는 분위기이지만, 속은 부글부글했습니다. <br><br>친이재명계 한 의원은 통화에서 "비대위에서 총괄선대위원장까지 맡기면서 울며 겨자먹기로 나선 것인데, 이건 친문의 사당화 프레임 만들기"라고 맞섰고요.<br><br>처럼회 소속 김용민 의원은 SNS에 "문제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국회의원들과 당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사람들은 이제 정신 차려야 한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><br>Q. 셀프공천이다, 아니다 당의 부름이었다 너무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는 것 같은데요. 당시 상황은 어땠나요? <br><br>당시 비대위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이 의원의 전략공천을 논의하지는 못했습니다. <br><br>[고용진 /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(지난달 6일)] <br>"지금까지는 비대위에서 이 관련한 논의를 한 적이 없습니다. 두 분의 비대위원장께서 그 사이 그런 대화가 있었고 (이재명 의원이) 동의하고 수락했다" <br><br>그러다보니 이런저런 이야기가 나오는건데 공천과정을 조사한다는게 쉬운 일은 아닌만큼 양측의 공방은 계속될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두 번째 주제 보시죠. 사저를 지켜라. 문재인 전 대통령 양산 사저 앞 집회가 계속되고 있는데 오늘도 여전히 시끄러웠다고요? <br><br>지난 1일 경찰이 집회금지를 통보하고 첫 주말이었는데요. <br> <br>보수 유튜버 채널을 살펴보니 상황은 이전과 비슷했습니다. <br> <br>사저에서 문 전 대통령을 보좌하는 한 비서관은 "주말에는 시위자들이 더 몰려 사저는 비상"이라고 전했습니다. <br><br>Q. 문 전 대통령 측이 경찰에 고소장까지 냈는데도 소용이 없나 보네요. 동네 분들도 일상생활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라고요?<br> <br>시위대는 밤낮으로 확성기에 욕설을 하고 장송곡까지 틀고 있는데요. <br> <br>심지어 살인 협박도 했습니다. <br><br>[영상] <br>"네편만 국민이고 네 편 안들면 싹다 반지성이냐 이 ○○○ ○○야!" <br><br>[문재인 / 전 대통령 (지난달 27일)]<br>Q. 집 앞에 시위하는 것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. 시위 계속하고 있는데? 예, 뭐 불편합니다. <br><br>Q. 얼마 전 딸 다혜씨가 집안에 갇힌 생쥐 꼴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는데요. 민주당 의원들이 이 시위를 막기 위해 개정안을 냈다고요? <br><br>최근 양산 사저 앞 집회를 막기 위한 민주당 의원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졌습니다. <br><br>한병도 의원 등 청와대 출신 의원들은 집회나 시위를 할 때 개인 명예를 훼손하거나 인격권, 사생활을 해치는 행위 등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았고요.<br><br>앞서 정청래 의원 등은 전직 대통령 사저를 시위 금지 장소에 추가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. <br> <br>윤영찬 의원은 유튜브 측에 원색적인 욕설, 협박을 스트리밍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습니다. <br> <br>집회의 자유는 헌법상 권리이긴 하지만요. <br><br>타인의 일상생활까지 파괴하는 의사표현 방식은 좀 더 성숙해질 필요가 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.(성숙하게)